'철수야, 거기 창틀좀 (깨끗히/깨끗이) 닦아놔.'

 

'내가 하나하나 (일일히/일일이) 가르쳐줘야 해?"

 

 

 

평소에도 헷갈리는 맞춤법을 들고 찾아왔습니다. 표기법이 헷갈리는 대게의 원인은 구어로 말하는 발음이 실제 표기와 다른 경우가 많기 때문이지요. 깨끗히와 깨끗이, 많은 분들이 헷갈려 하는 표기법이죠. 과연 어느것이 정답일까요? 정답은 맨 밑에 있습니다.

 

'이'와 '히', 이 둘은 왜이렇게나 헷갈릴까요? 바로 발음때문인데요, 한번 '이'와 '히'를 발음해 보시겠어요? 네, 둘의 발음은 거의 비슷하게 들립니다. 발음할 때 입모양과 혀 위치도 비슷할것입니다. 그래서 발음법도 헷갈리는 터이지요. 그렇다면 이쯤에서 '이'와 '히',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끝이 '~히'가 붙는 단어는?

 

1. '~하다'로 끝나는 말

 

'하다'로 끝나는 말에는 '히'를 붙입니다. 예시를 들어서 설명해볼게요.

솔직하다는 솔직히,
간편하다는 간편히,
나른하다는 나른히,
꼼꼼하다는 꼼꼼히,
분명하다는 분명히,
고요하다는 고요히.

 

네, 이렇게 하다로 끝나면 대부분 '히'가 붙습니다. 그런데, 문제는 '~이'가 붙는 단어이지요. '~이'가 붙는 조건은 총 여섯가지나 되거든요. 또, 저렇게 '~하다'로 끝나서 '~히'를 붙여야 하는데도, '~이'로 바꿔서 써야 하는 조건들이 있습니다. 예시와 함께 살펴볼까요?

 

 

끝이 '~이'가 붙는 단어는?

 

1. 'ㅅ'받침으로 끝나는 말 다음에.
깨끗-이, 뜨뜻-이, 번듯-이 등.

2. 'ㅂ' 받침이 없어지는 말 다음에.
'가볍다'는 가벼(ㅂ)-이,

'너그럽다'에는 너그러(ㅂ)-이,

'새롭다'에는 새로(ㅂ)-이 등.

3. '하다'가 붙지 않는 말 다음에.
같다 (같하다(X)) 그래서 같-이,

깊다 (깊하다(X)) 그래서 깊-이,

헛되다(헛되하다(X)) 그래서 헛되-이 등.

4. 부사 뒤에.
더욱-이, 일찍-이, 오뚝-이 등·

5. 같은 말이 반복되어 만들어진 말 다음에.
알알-이, 다(달)달-이, 겹겹-이 등.

6. 'ㄱ' 받침으로 끝나는 말 다음에.

 

 

조건이 총 여섯가지나 돼서 헷갈릴 법 합니다. 그런데 여러분이 주의해 주실 부분은 1번 사항입니다. 바로 '시옷'받침으로 끝나는 말 다음에는 '-이'가 붙는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1번 사항은 '~하다'가 와서 '~히'로 쓸 수도 있는 상황이지만 예외적으로 '~이'가 붙는것이니까요. 자, 그렇다면 '~하다'로 끝나는 말 뒤에는 '~히'가 붙고 나머지는 '~이'가 붙지만, '~하다로 끝나는 말 중에서도 시옷받침으로 끝나는 말에는 '~이'가 예외적으로 붙는다. 라고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자, 그렇다면 앞전에 내드렸던 퀴즈 기억하시나요? 한번 답을 체크해봅시다.

 

'철수야, 거기 창틀좀 깨끗이('깨끗하다'이지만 '끗'이 시옷받침으로 끝나기 때문에 '꺠끗이')닦아놔.'

 

'내가 하나하나 (일일히/일일이)('일일하다'가 성립되지 않는 말이기도 하거니와 '일일'처럼 단어가 두번 반복되면 '~이'.)가르쳐줘야 해?"

 

이번 포스팅 도움이 많이 되셨나요? 앞으로 '깨끗이'를 포함한 '~이','~히'. 헷갈리지 말고 당당하게 맞춤법 지키면서 써갑시다!

 

 

<위 포스팅은 네이버 지식백과와 국어사전을 참고하였습니다.>

 

 

 

'그 초콜릿은 (내 거/내 꺼)야!'

 

 

 

 

안녕하세요! 오늘은 ~거, ~꺼를 주제로 포스팅하겠습니다.

많은 분들이 혼동하시는 명사, '내 거'와 '내 꺼', 발음은 둘 다 비슷한데 둘 중 올바른 표기법은 무엇일까요?

 

.

.

.

 

정답이 뭔지 아시겠나요? 바로 '내 거'입니다.

저 역시도 '~거'와 '~꺼'를 굉장히 많이 헷갈려 했답니다. 심지어는 아는 동생과 이 문제로 내기를 하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검색 시스템이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아서, '내 꺼'가 정답으로 저희끼리 판결을 내렸었는데요. 그런데 국립 국어원에서 정확하게 내려준 정답은 '내 거'입니다. '~꺼'는 '~거'의 강한 강세로 불러지는 사투리라고 하네요. 그렇다면 '~거'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지 알아볼까요?

 

 

 

 

 

 

사전적 의미 

'~거'

1.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 서술격 조사 ‘이다’가 붙을 때에는 ‘거다’가 되고, 주격 조사 ‘이’가 붙을 때에는 ‘게’로 형태가 바뀐다

예문: 네 거 내 거 따지지 말자.
그 책은 내 거다.

지금 들고 있는 게 뭐냐?
 
뭘 먹지? 어제 저녁 식사 때 먹은 걸 먹자.

이 옷은 내 게 아니야.

2. ‘그거(‘그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의 준말.
예문: 거 좋은 생각이다.

 

 

 

'~꺼'

구어적으로 이르는 . →규범 표기는이다.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그렇다면 이런 의문이 들 수 있겠죠. 많은 노래 제목중에는 '~꺼'를 쓰는 제목이 많은데요? 네, 아마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꺼'를 더 많이 차용하는 미디어의 현상때문에 헷갈리셨을 겁니다.

 

[출처-네이버 뮤직]

 

 

'내꺼야', '내꺼중에 최고', '썸 탈꺼야' 등등, 왜 많은 노래 제목들은 정식 표기법인 '~거'가 아닌 '~꺼'를 쓰는 걸까요? 그것은 앞의 말을 강조해주기 위해서 일부러 정식 표기법을 지키지 않은건데요. 그 누구도 정석적인 발음으로 '너는 내야'라고 발음하지 않죠. 대부분 '내 야'라고 발음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내거야' '내거중에 최고'라는 제목은 어딘지 심심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일부러 '~꺼'를 사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그래도 쓰여지는 글의 목적이 어디냐에 따라서 올바른 표기법을 지켜주는 것이 좋겠죠? 장난스럽게 강조하고자 할 땐 '내 꺼'라고 써도 무난하지만, 자기소개서같은 곳에서는 '~거'를 꼭 지켜주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많은 분들이 혼동하시는 '~거'와 '~꺼' 중에 올바른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내용이 많이 도움되었나요? 이제 앞으로 올바른 표기는 '내 거'라는 것, 헷갈리지 마세요!

 

 

 

 

'이 (악세사리/악세서리/액세사리/액세서리), 정말 예쁘지 않니?'

 

 

 

 

다음 외래어의 올바른 표기법은 무엇일까요?

여러분은 정답을 예측 하셨나요?

 

.

.

.

 

정답은 바로바로~ '액세서리'입니다. 'accessory'라는 영어단어가 한국으로 넘어오면서 '액세서리'란 외래어로 변화된 것이죠.

외래어중에는 참 헷갈리는 표기법이 많죠. 지난번의 '사이트'도 그 예입니다.

 

그럼 액세서리와 비슷한 뜻의 외래어면서 헷갈리는 표기법을 가진 아이, 또 있죠. 바로 '주얼리(jewelry)'입니다.

한국에서 한 때 굉장한 히트쳤던 걸그룹, '쥬얼리'때문에 사람들이 '주얼리'와 '쥬얼리'를 헷갈려 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주얼리'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액세서리'와 '주얼리', 꼭 명심하세요!

 

 

 

 

 

 

사전적 의미 

액세서리(accessory)-복장의 조화를 도모하는 장식품. ‘노리개’, ‘장식물’, ‘치렛감’으로 순화.


주얼리(珠寶, jewelry)- 브로치, 반지, 목걸이, 귀걸이, 팔찌와 같은 조그마한 액세서리들을 가리킨다. 보석 원석으로 된 것들이 많아 보석류(寶石類)로 부르기도 하지만 조개와 다른 식물들이 사용되기도 한다.

 

출처 - 네이버 국어사전 / 위키백과

 

 

 

 

여기서 주얼리와 액세서리의 차이점을 눈치채신 분 있으신가요?

네, 맞습니다. 액세서리는 폭 넓고 큰 개념이고 주얼리는 큰 개념의 액세서리에 포함되는 아이들이겠네요. 예를들어 액세서리는 복장 조화를 도모하는 모든 장식품이지만(주얼리도 포함), 주얼리는 반지. 목걸이. 팔찌 등과 같은 조그마한 액세서리들을 지칭합니다.

 

사실 외래어는 발음이 비슷하여 구어로 쓸 땐 상관없지만, 그래도 공식적인 자리 혹은 제출하는 자리에서는 올바른 표기법을 지켜주는게 좋겠죠?

 

다음엔 더 유익한 내용으로 찾아올게요! :)

 

 

+ Recent posts